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Cache

반응형

캐시방대한 연산이 필요한 결과를 기억장치(Memory)에 저장하여 재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때 사전에 연산한 값이 있는 경우를 Cache Hit (이)라고 하며 반대의 경우는 Cache Miss (이)라고 한다.

노후된(Oudated) 값이라는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값의 근간을 이루는 요소가 변경되었을 경우 재구축(Rebuild)이 요구되며,
따라서 어떻게 값을 저장하고 관리할지에 대한 전략(Caching Strategy)이 필요하다.

Pros

  • 재연산을 생략하고 값을 사용 가능하다

Cons

  • 저장공간이 요구된다
  • 저장된 값이 노후되었는지 알 수 없다

Read Cache Strategy

캐시 읽기 전략은 다음과 같다.

Look Aside

 

Read Through

 

Write Cache Strategy

캐시 쓰기 전략은 다음과 같다.

Write Back

 

Write Around

 

Write Through

 

 

 

반응형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ort-Circuit Evaluation  (0) 2024.04.23
Buffer  (0) 2024.04.22
Karnaugh Map  (0) 2024.04.19
Logical Gate  (0) 2024.04.18
Boolean Algebra  (0) 2024.04.17